이전 글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유효수평지반가속도(S)를 구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지진구역계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지진위험지도를 이용하는 방법이죠. 하지만 두 방법 모두 평균재현주기를 결정해야 정확한 유효수평지반가속도(S)의 산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눈치채셨을 겁니다. 오늘은 평균재현주기 결정을 위한 비탈면 내진등급 결정의 기준이 되는 자료를 소개드립니다.
비탈면의 내진등급 결정 기준
국토교통부 코드설계기준에서 말하는 비탈면의 내진등급은 비탈면이 시공되는 위치의 주 구조물(시설물)의 내진등급에 따라서 결정되도록 기술되어 있습니다. 비탈면은 도로나 댐, 터널, 건축물 등 다양한 메인 구조물(시설물)들의 시공에 따라오는 설계 대상입니다. 따라서, 비탈면 하부 혹은 상부에 시공되는 구조물(시설물)에 맞춰 내진등급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 비탈면 내진설계기준(KDS 11 90 00)
- 내진설계 일반(KDS 17 10 00)
내진설계기준연구(Ⅱ) (1997, 건설교통부)
여기까지만 보면 뭘 어떻게 적용하라는 것인지 알 수 없을 겁니다. 그래서 그런 부분을 명확히 해줄 보고서 자료를 가지고 왔습니다. 내진설계기준연구(Ⅱ) (1997, 건설교통부) 자료이고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해설(2011)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 구조물의 등급분류와 등급별 적용대상
구조물분류 | 등급구분 | 적용대상 |
도로교 | 내진특등급 | 내진Ⅰ등급 중 복구난이도가 높고 경제․사회적으로 특별한 교량(장대교량) |
내진Ⅰ등급 |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특별시도, 광역시도, 일반국도상의 교량 ∙지방도, 시도, 군도 중 방재계획상 필요한 도로에 건설된 교량 ∙내진Ⅰ등급교가 건설되는 도로 위를 지나가는 고가교량 |
|
내진Ⅱ등급 | 내진특등급, 내진Ⅰ등급에 포함되지 않는 교량 | |
고속철도 | 내진특등급 | 내진Ⅰ등급 중 복구난이도가 높고 경제․사회적으로 특별히 중요한 구조물 |
내진Ⅰ등급 | 교량, 고가역사, 지하터널역사, 터널, 전차선 및 전주 | |
내진Ⅱ등급 | 이외의 구조물 | |
공항구조물 | 내진특등급 | 관제탑, 구조 및 소방시설 |
내진Ⅰ등급 | 교량, 지하구조물, 비행장시설, 도로, 건축물 등 | |
내진Ⅱ등급 | 하수도, 화물창고, 화물터미널 | |
항만구조물 | 내진Ⅰ등급 | 항구의 입지적, 전략적 요건에 의해 주관적으로 분류 |
내진Ⅱ등급 | 안벽, 제방 등 Ⅰ등급으로 할 필요가 없는 구조물 | |
지중구조물 | 내진특등급 | ∙특별한 안전이 요구되는 시설 ∙긴급구조, 국방 및 치안유지에 필요한 구조물 |
내진Ⅰ등급 |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고 많은 인명, 재산피해를 주는 구조물 | |
내진Ⅱ등급 | 내진특등급, 내진Ⅰ등급에 포함되지 않는 일반적인 구조물 | |
댐 | 내진특등급 | 중규모이상으로서 파괴시 하류에 중규모이상의 피해가 야기되는 댐 |
내진Ⅰ등급 | 소규모로서 파괴시 하류에 낮은 수준의 피해가 야기되는 댐 | |
터널 | 내진특등급 | ∙긴급구조, 구호, 국방 및 치안유지에 필요한 터널 ∙내진특등급 구조물과 연계된 터널 |
내진Ⅰ등급 | 내진1등급 구조물과 연계된 터널 | |
내진Ⅱ등급 | 그 외의 일반적인 터널 | |
도로 | 내진Ⅰ등급 |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특별시도, 광역시도, 일반국도 |
내진Ⅱ등급 | 지방도, 시도, 군도 | |
철도구조물 | 내진특등급 | 내진Ⅰ등급구조물중 복구난이도가 높고 경제사회적으로 중요한 구조물 |
내진Ⅰ등급 | 국방, 치안유지 및 국가산업 활동에 중요역할을 하는 철도선상이나 도시지하철상의 교량,고가역사,지하철터널역사,터널,전차선 및 전주 | |
내진Ⅱ등급 | 내진특등급, 내진Ⅰ등급에 포함되지 않는 구조물 | |
건축물 | 내진특등급 | 방송국, 유독폭발성물질을 다량보관하는 구조물 |
내진Ⅰ등급 | 소방서, 경찰서, 종합병원, 통신시설, 발전소, 바닥면적이 5000㎡이상인 집회시설, 바닥면적 10000㎡이상인 판매시설, 내진특등급 구조물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물, 교육용건물, 교도소 및 구금시설, 6층 이상의 아파트나 숙박시설, 공공건물중 지진전후로 가동되어야 하는 건축물 | |
내진Ⅱ등급 | 내진특등급, 내진Ⅰ등급에 포함되지 않는 건축물 |
마무리하며
표를 잘 활용하실 수 있도록 한글파일로 표만 정리하여 첨부 드립니다. 그리고 내진설계기준연구(Ⅱ) 보고서를 공유드리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붕괴방지기준으로 적용하면 평균재현주기가 내진특등급은 2400년 내진 1등급은 1000년 내진 2등급은 500년이 됩니다. 이제 아래 방법대로 대상 비탈면의 지진계수를 산출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2023.03.29 - [지반설계 실무/비탈면 안정해석] - [비탈면 설계기준] 지진계수 산정 방법 실무
[비탈면 설계기준] 지진계수 산정 방법 실무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탈면 설계에서 지진 시 해석에 이용되는 지진계수 산정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지진 시에는 비탈면이 붕괴되려는 "활동력"에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추가로
gaianote.tistory.com
'지반설계 실무 > 비탈면 안정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탈면 설계기준] 투수계수 산정 방법(경험식, 문헌자료) (0) | 2023.04.03 |
---|---|
[비탈면 설계기준] Soilworks 사면모듈 지진계수 적용 (0) | 2023.03.31 |
[비탈면 설계기준] 지진계수 산정 방법 실무 (0) | 2023.03.29 |
[비탈면 설계기준] 안전율 및 지하수위 기준 (0) | 2023.03.28 |
[Soilworks] 비탈면 안정 해석 결과 이미지, OUTPUT 내보내기 (0)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