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반설계 실무/석축옹벽 설계

석축의 한계고(Ha) 구하는 방법

by Gains 2022. 10. 24.
반응형

석축의 한계고란 Middle Third 전단점과 시력선이 일치되도록 계획된 옹벽의 높이를 뜻합니다. 오늘은 석축 옹벽의 한계고를 구하는 방정식을 소개드리겠습니다. Middle Third 전단점과 시력선의 위치를 구하여 석축 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지난 자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2.10.24 - [석축옹벽 설계] - 석축의 설계 및 안정 검토 방법 ☜ 지난 자료 확인하러 가기

 

 

 

 

 석축의 한계고(Ha)

석축의 안정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최대로 쌓을 수 있는 높이를 한계고라고 합니다. 단, 구체 바닥면에서 시력선과 Middle Third 전단점이 일치하도록(Xm=Xh) 벽고를 계획했을 때의 높이를 말합니다. 석축 설계 시 주어진 재료 및 토질 조건에 의해 한계고를 구하여 적용할 경우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석축의 한계고 구하는 방정식
석축의 한계고 구하는 방정식

지난번 그림을 가지고 와서 이어서 설명하겠습니다. 한계고의 조건인 Xm=Xh의 식을 2차 방정식의 형태로 보고 방정식의 해를 구하면 우리가 구하고 싶은 석축의 한계고(Ha)를 구할 수 있습니다. 방정식의 해는 두 개가 나오는데 음(-)의 값이 아닌 양(+)의 값을 한계고로 적용하면 됩니다.

 

석축의 한계고 구하는 방정식

 

 

 

마무리하며

오늘은 석축의 한계고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석축 설계에서 안정성 검토는 이것만으로 충분할까요? 석축 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두 가지 요소에 대한 안정 검토가 필요합니다. 

  1. 석축 옹벽의 지지력 검토
  2. 석축 옹벽의 전체 활동 검토

우리가 지난번에 이어 오늘까지 다뤘던 내용은 석축 옹벽의 내적 안정성에 대한 검토입니다. 지지력과 활동 검토에 대한 내용은 추후에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지반설계 실무 > 석축옹벽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축의 설계 및 안정 검토 방법  (0) 2022.10.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