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반설계 실무/비탈면 안정해석13

[비탈면 설계기준] 비탈면 내진등급 결정 이전 글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유효수평지반가속도(S)를 구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지진구역계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지진위험지도를 이용하는 방법이죠. 하지만 두 방법 모두 평균재현주기를 결정해야 정확한 유효수평지반가속도(S)의 산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눈치채셨을 겁니다. 오늘은 평균재현주기 결정을 위한 비탈면 내진등급 결정의 기준이 되는 자료를 소개드립니다. 비탈면의 내진등급 결정 기준 국토교통부 코드설계기준에서 말하는 비탈면의 내진등급은 비탈면이 시공되는 위치의 주 구조물(시설물)의 내진등급에 따라서 결정되도록 기술되어 있습니다. 비탈면은 도로나 댐, 터널, 건축물 등 다양한 메인 구조물(시설물)들의 시공에 따라오는 설계 대상입니다. 따라서, 비탈면 하부 혹은 상부에 시공되는 구조물(시설물)에 맞춰 내.. 2023. 3. 30.
[비탈면 설계기준] 지진계수 산정 방법 실무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탈면 설계에서 지진 시 해석에 이용되는 지진계수 산정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지진 시에는 비탈면이 붕괴되려는 "활동력"에 지진하중에 의한 수평력이 추가로 작용되는데 이때의 수평력을 지진계수라고 합니다. 국내 설계기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수평지반관성력을 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진계수(= 최대수평지반가속도(a)) 산출 방법 유효수평지반가속도(S) × 증폭계수(Fa) = 최대수평지반가속도(a) 유효수평지반가속도(S)의 산출 유효수평지반가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지진구역계수를 이용하는 방법 지진구역계수(Z) × 위험도계수(I) = 유효수평지반가속도(S) 비탈면의 내진성능수준은 붕괴방지 수준으로 합니다.(KDS 11 90 00 비탈면 내진.. 2023. 3. 29.
[비탈면 설계기준] 안전율 및 지하수위 기준 비탈면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경우를 검토해야 합니다. 세 가지 Case는 각각 건기시, 우기시, 지진 시입니다. 비말면 설계에서는 세 가지 모두 안전율 기준을 만족해야 비탈면이 안정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각 조건에 따라서 검토 안전율과 지하수위의 적용이 다르고 지진 시의 경우는 지진하중을 고려하여 검토를 수행합니다. 안전율 및 지하수위 기준으로 국가건설기준코드 설계기준 KDS 11 70 05 쌓기·깎기에 수록된 자료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헌자료에서 소개되고 있는 내용을 공유드리겠습니다. 국내 문헌자료 KDS 11 70 05 쌓기·깎기(국토교통부, 2020) 해당 자료는 실제로 국가에서 발행된 다양한 설계기준집에 실려있는 내용입니다.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2011), 절토사면 유지관리 .. 2023. 3. 28.
[Soilworks] 비탈면 안정 해석 결과 이미지, OUTPUT 내보내기 해석만 돌린다고 일이 다 끝나는 것이 아니죠. 우리는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고 보고서에 넣기 위해서는 해석 결과 이미지와 OUTPUT 데이터가 있어야 합니다. 이미지는 보고서 본문에 삽도로 넣고, OUTPUT은 부록에 첨부해서 납품하게 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비탈면 안정 해석 결과 이미지와 OUTPUT 데이터를 내보내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결과 이미지 내보내기 해석창을 보면 캐드와 마찬가지로 배경이 검은색으로 되어 있어서 원호 반경 선 색상이 흰색으로 표현됩니다. 이 상태로 이미지를 내보내면 흰색 배경에 흰색 선으로 표현되어 잘 안보이니까 검은색으로 바꿔줍니다. 좌측 하단에 속성 창이 있을 겁니다. 만약 안보이시면 상단에 윈도우 탭에 가셔서 [속성 윈도우]를 활성시키면 됩니다. 속성 .. 2022.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