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반설계 실무/비탈면 안정해석

[Soilworks] 비탈면 안정 해석 결과 이미지, OUTPUT 내보내기

by Gains 2022. 12. 2.
반응형

해석만 돌린다고 일이 다 끝나는 것이 아니죠. 우리는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고 보고서에 넣기 위해서는 해석 결과 이미지와 OUTPUT 데이터가 있어야 합니다. 이미지는 보고서 본문에 삽도로 넣고, OUTPUT은 부록에 첨부해서 납품하게 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비탈면 안정 해석 결과 이미지와 OUTPUT 데이터를 내보내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결과 이미지 내보내기

해석창을 보면 캐드와 마찬가지로 배경이 검은색으로 되어 있어서 원호 반경 선 색상이 흰색으로 표현됩니다. 이 상태로 이미지를 내보내면 흰색 배경에 흰색 선으로 표현되어 잘 안보이니까 검은색으로 바꿔줍니다.

속성창 선 색깔 바꾸기
속성창 선 색깔 바꾸기

좌측 하단에 속성 창이 있을 겁니다. 만약 안보이시면 상단에 윈도우 탭에 가셔서 [속성 윈도우]를 활성시키면 됩니다. 속성 창에서 한계 평형 법을 선택한 후에 원호 반경 선 색상을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변경해줍니다. 이제 내보낼까요? 결과 - 결과 이미지 저장을 누릅니다.

결과 이미지 저장
결과 이미지 저장
결과 이미지 저장 설정
결과 이미지 저장 설정
완료창
완료창

건기, 우기, 지진시 모두 체크해주시고, 이미지 형식은 JPG를 선택해 주세요. 그리고 출력 경로는 자동으로 해석 파일이 있는 곳에 별도의 폴더가 생성되면서 저장되니까 그대로 두셔도 됩니다. 그리고 그림 저장을 누르시면 출력이 됩니다. 결과를 볼까요?

자 이렇게 깔끔하게 이지미가 출력 되었습니다. 우기시 지진 시의 경우 최소 안전율이 나오는 그리드의 점 위치가 중앙이 아닌데, 신경 쓰이는 분들은 별도의 원호파괴면 경계를 생성해서 위치를 다르게 해 주신 다음 해석 케이스에서 우기시와 지진 시만 새롭게 만든 경계로 설정해주시면 모두 그리드 중앙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OUTPUT 내보내기

OUTPUT은 내보내면 .txt파일로 저장이 됩니다. 어떤 파일이 OUTPUT인지 알려드리고 어떻게 설정해서 내보내는지 보시죠. 결과 탭에서 결과 파일 버튼을 클릭합니다.

결과파일
결과파일
결과파일 출력 관리자

결과 파일 출력 관리창에서 [출력 설정] 버튼을 눌러 아래 이미지처럼 필요 없는 결과 값들에 대한 내용을 제외시켜 줍니다. 우리는 모델링 정보와, 최소 안전율에 대한 OUTPUT만 있으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게 (결과 파일 별도 출력 필요)라는 괄호 안에 문구 보이시나요? 해석 케이스 설정할 때 체크를 했는데 잘 기억 안나시는 분들을 위해 다시 보여 드리면,

해석케이스 설정
해석케이스 설정

맨 밑에 결과파일 별도 출력 체크 보이시죠? 이게 체크가 안되어 있으면 OUTPUT도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으니 꼭 확인하세요! 자 이제 설정을 확인하고 [출력 수행] 버튼은 눌러 내보냅니다.

결과 데이터 창
결과 데이터 창

결과 데이터가 이런 식으로 한번 열릴텐데요. 요거는 닫아주시고 해석 파일이 있는 폴더로 가시면 저장된 OUTPUT의 txt 파일이 저장되어 있을 겁니다. 자 이렇게 해석 케이스 별로 txt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이 파일이 바로 OUTPUT 데이터 파일입니다. 밑에 Slice infm.txt 랑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생성된 결과파일
생성된 결과파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