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반설계 실무/비탈면 안정해석

비탈면 침투 해석 시 강우강도 조건 및 조회

by Gains 2022. 11. 1.
반응형

비탈면에서 침투 해석을 할 때, 실제 비가 왔을 때의 상황을 모델링하기 위해 강우강도를 입력하게 됩니다. 강우강도를 입력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실제 지역별 일 강수량과 기간에 대한 함수로 모델링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침투해석에 대한 강우강도를 입력하는 기준을 말씀드리고 그대로 대전 지역의 강우강도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강우강도 입력 조건

한국도로공사에서 2009년 발간된 도로설계요령 제2권 토공 및 배수 편에 보시면 7.6 땅 깎기 비탈면의 안정 해석 방법 챕터에 침투해석에 대한 강우 조건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해석을 실시하는 경우 지층의 투수계수, 최근 50년 동안 해당지역의 일 최대 강우량이 발생한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1개월 동안의 지속시간을 강우 조건으로 입력하도록 한다.

즉, 설계 대상 지역의 최근 50년간의 강우데이터를 확인하고 일 최대 강우량이 발생한 시점에서부터 30일간의 강우 데이터를 실제 해석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자 그럼 대전 지역의 강우 데이터를 찾아볼까요?

 

 

 

 

 

최근 50년 일 최대 강우량 찾는 방법 

기상자료개방포털에서 설계에 필요한 일강우량 데이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검색을 하셔도 좋고, 링크를 타도 좋습니다.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로 들어가셔서 다음 경로로 이동해주세요.

  • Home > 기후통계분석 > 통계분석 > 강수량 분석 

최근 50년 일강수량 자료 검색
최근 50년 일강수량 자료 검색

이렇게 검색조건을 입력하시고 [검색]을 누르시면 대전지역의 최근 50년간의 일강수량 그래프가 보입니다. 그래프 오른쪽 상단에 [Excel] 버튼 보이시나요? 엑셀로 자료를 내려받습니다.

엑셀로 자료 내려받기
엑셀로 자료 내려받기

엑셀을 열어 주면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있기 때문에 찾는데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제가 일 최대 강우량을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한번 따라서 해보세요.

 

 

 

 

강우량 데이터 파일
강우량 데이터 파일

1. 강수량 데이터 위에 최댓값을 찾는 수식을 입력합니다. [=MAX(강수량 값 전체 셀)]

최대값 찾기 수식입력
최대값 찾기 수식입력

2. Ctrl + F(찾기)로 조회된 최대 값 찾아갑니다.

최대값 찾기
최대값 찾기

3. 1987년 7월 22일 대전지역 일 최대 강수량 확인합니다.

일 최대강수량 발생일 찾기
일 최대강수량 발생일 찾기

 

 

 

 

해석에 사용할 자료 만들기

해석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 최대 강우량이 발생한 시점에서 30일간의 강수량 자료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이 강우강도의 단위입니다. 해석에 필요한 단위계를 맞춰서 변환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강우강도 단위를 m/day로 변환하면 아래와 같이 자료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자료 정리 화면
자료 정리 화면

이렇게 자료를 만들어 놓으면 보고서 작성 시 삽입할 그래프도 작성이 되고, 해석 프로그램에 입력할 내용도 만들 수 있어 유용합니다. 그리고 지역마다 데이터가 쌓이면 더 손쉽게 설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비탈면 침투 해석 시 강우강도를 입력하는 조건 및 자료 조회 방법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업무에 적절히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