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반설계 실무/비탈면 안정해석

[Soilworks] 비탈면 안정 해석 결과 확인하기

by Gains 2022. 12. 1.
반응형

지난 글에서는 수많은 이미지와 간단한 설명으로 비탈면 안정 검토 따라 하기를 진행했습니다. 오늘은 그때 확인하지 못했던 결과를 함께 보겠습니다.

 

 

 

안전율, 원호 파괴 토체 형상 확인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안전율 일 것입니다. 깎기 비탈면 안정성 검토에 적용하는 안전율은 건기시 1.5 이상, 우기시 1.2 이상(침투해석 시 1.3이지만 이번 검토는 침투해석을 하지 않았기에...), 지진 시 1.1 이상일 때 안전하다고 봅니다.

결과는 어떻게 나왔을까요?

결과트리에서 안전율 확인
결과트리에서 안전율 확인

왼쪽 결과 트리를 보시면 검토 조건에서의 최소 안전율을 표시해 줍니다. 건기시 2.439, 우기시 1.694, 지진 시 1.980으로 모두 기준안전율을 만족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네요. 하지만 우리가 놓치기 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파괴 형상이 상식적인 형태로 잘 나왔는가입니다. 자 볼까요?

건기시 해석 단면
건기시 해석 단면

건기시의 해석 단면입니다. 연두색 부분을 둘러싼 원호 모양이 파괴면입니다. 하지만 상식적으로 토체가 조금 더 커져야 맞지 않나요? 풍화암에 닿을 듯 말듯하게 원호가 그려져야 누가 봐도 '아, 풍화토로 원호파괴가 일어나는구나.' 할 텐데 말이죠. 제가 빨간색 선을 그려 넣은 부분은 왜 공간이 뜨는 걸까요?

 

그것은 바로 접선의 간격을 제가 너무 대충 잡았기 때문입니다. 다음 이미지를 보시면 이해가 쉬울 겁니다.

자, 프로그램이 최소 안전율인 원호파괴면을 어떻게 그리냐면, 그리드 각 점이 원의 중심점이 돼서 우리가 설정한 접선에 접하는 모든 원에 대해서 해석한 후 최소 안전율이 나오는 파괴면을 찾는 것입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빨간색 원호가 최소 안전율이 나오는 원호고요. 각 원호는 접선의 간격만큼 띄워져 그려 있습니다. 

 

빨간 원호보다 한 단계 큰 원호를 보시면 풍화암에 살짝 걸리는 게 보이시나요? 저 걸리는 부분 때문에 전당 강도가 커져서 안전율이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접선의 간격을 조금만 좁히면 모두가 만족하는 해석 결과를 얻으실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보고서에 삽입하기 위해 그리드도 최소 안전율이 나오는 점이 중심으로 가도록 하여 10 × 10으로 조정해보겠습니다. 

 

 

 

조정 후 해석 단면의 모습

이런 식으로 최대한 파괴면이 예쁘게 나오게 해 주시고요.(지금 파괴면보다 조금 더 커지면 오히려 마찰저항면이 길어져서 안전율이 높아지더군요. 이게 최선입니다.) 그리드 위치도 중앙으로 정리했습니다. 이 상태로 보고서용 삽도를 추출하는 겁니다.(그 방법은 다음 시간에)

완료된 해석 단면
완료된 해석 단면

안전율도 떨어진 거 확인되셨죠? 이렇게 검토를 한 번 할 때 깔끔하게 정리해 놓아야 다음 보고서 작성 시에 편하고 좋습니다. 다음에는 이미지로 추출하는 방법과 output 내보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