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효 수평 지반가속도와 증폭 계수를 알아야 합니다. 오늘은 이 유효 수평 지반가속도를 구하는 방법 두 가지 중 하나인 국가 지진 위험지도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내진 성능 수준과 시설물 등급 파악
먼저, 내가 설계하는 시설물이 무엇인지 파악하셔야 합니다. 비탈면을 설계한다고 하면, 도로에 위치한 비탈면인지, 댐에 위치한 비탈면인지 그 비탈면에 인접한 시설물이 무엇인지 파악하셔야 합니다. 도로라고 가정하면, 고속도로인지, 일반 국도인지에 따라 비탈면의 내진등급이 달라집니다.
2023.03.30 - [지반설계 실무/비탈면 안정해석] - [비탈면 설계기준] 비탈면 내진등급 결정
[비탈면 설계기준] 비탈면 내진등급 결정
이전 글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유효수평지반가속도(S)를 구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지진구역계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지진위험지도를 이용하는 방법이죠. 하지만 두 방법 모두 평균재현
gaianote.tistory.com
그리고 어떤 수준의 내진 성능을 요구할 것인지도 결정해야 합니다. 기능수행, 즉시 복구, 장기 복구/인명보호, 붕괴 방지의 네 개의 내진 성능이 있고, 일반적으로 비탈면은 붕괴 방지 수준으로 설계합니다. 그렇게 해서 설계지진 재현주기가 500년 인지, 1000년인지, 2400년인지 정해지면 해당 국가 지진 위험지도를 통해 유효 수평 가속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충남지역 사례로 지반가속도 결정
- 500년 국가 지진 위험지도
- 1000년 국가 지진 위험지도
- 2400년 국가 지진 위험지도
마무리하며
국가 지진 위험지도는 2013년 소방방재청에서 공표한 문서에 붙임으로 첨부가 되어 있습니다. 온르 그 자료도 함께 첨부드릴 테니까 업무에 활용하셔서 보다 전문성을 향상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반설계 실무 > 비탈면 안정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ilworks] 비탈면 안정 해석 결과 이미지, OUTPUT 내보내기 (0) | 2022.12.02 |
---|---|
[Soilworks] 비탈면 안정 해석 결과 확인하기 (1) | 2022.12.01 |
[Soilworks] 비탈면 안정 해석 따라하기 (깎기, 토사 및 풍화암) (0) | 2022.11.29 |
비탈면 침투 해석 시 강우강도 조건 및 조회 (0) | 2022.11.01 |
네일 인발시험 시험 횟수 기준(2020년 개정 후) (0) | 2022.10.27 |
댓글